기술로 발전하고,
사람들에게서 영감을 얻다

우리의 디자인 철학은 사용자로부터 시작됩니다 : 의족을 착용하는 사람들이 매일 직면하는 문제 중 기술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 질문은 우리가 의족 사용자의 기준을 높이고 업계를 발전시키는 기술을 개발하도록 지속적으로 이끌어줍니다.

절단 장애인이 직면하는 도전 과제

하지 절단은 보행 역학에 영향을 미치고 남아있는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무릎 관절염은 일반 인구에 비해 하퇴 절단 환자에게서 17배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당뇨병성 또는 혈관질환성 절단 환자의 경우, 증가된 부하가 족부 궤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프로-플렉스®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한 걸음입니다.

일반적인 에너지 저장 및 반환 기능을 가진 발과 비교했을 때, 프로-플렉스® 발은 뛰어난 기계적 추진력과 발목 운동 범위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건측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줍니다.

수많은 발걸음이 쌓이는 동안, 그 잠재적인 건강상의 이점은 분명해집니다.

프로-플렉스® 발은 의족 발 기술 개발의 최신 혁신입니다. 1980년대에 개발된 플렉스-풋(Flex-Foot)은 최초의 탄소 섬유 기반 에너지 저장 및 반환(ESAR) 기능을 갖춘 의족 발로, 기존의 표준이었던 SACH 발에 비해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습니다.

오서(Össur)는 2000년에 플렉스-풋(Flex-Foot)을 인수하여 이 기술 플랫폼을 발전시켰으며, 이를 바탕으로 프로-플렉스® 피봇을 출시하여 프로-플렉스® 패밀리의 핵심 기술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그 이후로, 프로-플렉스® 패밀리는 다양한 사용자와 그들의 필요를 고려하여 확장되었습니다.

프로-플렉스® DNA


전체 길이 풋블레이드 + 분할형 앞발가락

전체적으로 효과적인 발가락 길이와 설계가 기존의 에너지 저장 및 반환 기능을 가진 발보다 더욱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보행 흐름을 형성하여 뒤꿈치 접지부터 발끝 이탈까지 원활한 움직임을 제공합니다.

3-블레이드 디자인

모든 프로-플렉스® 발은 독자적인 3-블레이드 디자인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에너지 저장 및 반환 기능을 가진 발이 주로 사용하는 2-블레이드 디자인과 비교했을 때 더 넓은 운동 범위와 향상된 에너지 반환을 제공합니다.

모두를 위한 의족 발

각 프로-플렉스® 탄소 섬유 의족 발은 다양한 사용자와 그들이 직면하는 개별적인 도전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발을 선택할 때는 전체 높이, 활동 수준, 라이프스타일, 경제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의 발을 만나보세요


모든 것은 프로-플렉스® 피봇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제품은 프로-플렉스®의 핵심 기술을 이루는 3-블레이드 디자인을 활용하였습니다. 지난해 우리는 사전 압축된 상단 블레이드와 스냅온 풋 커버와 같은 혁신적인 기능을 갖춘 프로-플렉스® 테라를 출시했습니다. 모든 프로-플렉스® 발은 특정 사용자 프로필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의족 발을 착용하는 사람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교한 공학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click to read

프로-플렉스® 피봇

10년 동안 보행을 더 쉽게 만들다

click to read

프로-플렉스® XC &
프로-플렉스® XC 토션

업계 표준 ESAR 발

click to read

Pro-Flex® LP 얼라인

뒤꿈치 높이 최대 3cm까지 조절 가능

click to read

프로-플렉스® 테라

비교할 수 없는 다재다능함과 에너지 반환

click to read

프로-플렉스® LP &
프로-플렉스® LP 토션

최고 수준의 로우 프로파일 의족 발

click to read

프로-플렉스® ST

부드러운 롤오버와 안정적인 추진력

click to read

프로-플렉스® 모듈러

맞춤 조정 가능한 샹크 높이

모두를 위한 유니티 시스템

무릎 위 절단이든 무릎 아래 절단이든, 저활동성이든 고활동성이든, 기계식이든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이든 상관없이, 유니티 슬리브리스 진공 시스템은 다양한 오서 발과 무릎을 조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여 각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최적의 장비 구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씰-인(Seal-In) 라이너가 장착된 의족에 승압 진공 시스템을 추가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합니다 :  

  • 피스토닝 감소 3,4,5
  • 부피 변동 감소 10,14  
  • 균형 향상 15  
  • 낙상 위험 감소 15,16  

사용자의 편안함을 고려하여 설계된 유니티는 남은 부위의 변동을 줄여 단축 부피를 조절하며, 소켓 적합성을 향상시켜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합니다.

문의하기


프로-플렉스® 발에 대해 궁금하신가요? 아래 양식을 통해 문의 사항을 작성하시면 의지보조기 전문 담당자가 연락드릴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1. W. L. Childers and S. R. Wurdeman, “Chapter 42: Transtibial Amputation: Prosthetic Management,” in Atlas of Amputations and Limb Deficiencies, vol. 2016,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 M. D. Muller, “Chapter 46: Transfemoral Amputation: Prosthetic Management,” in Atlas of Amputations and Limb Deficiencies,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016. 
  3. W. J. Board, G. M. Street, and C. Caspers, “A comparison of trans‐tibial amputee suction and vacuum socket conditions,” Prosthet. Orthot. Int., vol. 25, no. 3, pp. 202–209, Jan. 2001, doi: 10.1080/03093640108726603. 
  4. B. J. Darter, K. Sinitski, and J. M. Wilken, “Axial bone–socket displacement for persons with a traumatic transtibial amputation: The effect of elevated vacuum suspension at progressive body-weight loads,” Prosthet. Orthot. Int., p. 0309364615605372, Sep. 2015, doi: 10.1177/0309364615605372.  
  5. G. K. Klute, J. S. Berge, W. Biggs, S. Pongnumkul, Z. Popovic, and B. Curless, “Vacuum-Assisted Socket Suspension Compared With Pin Suspension for Lower Extremity Amputees: Effect on Fit, Activity, and Limb Volume,” Arch. Phys. Med. Rehabil., vol. 92, no. 10, pp. 1570–1575, Oct. 2011, doi: 10.1016/j.apmr.2011.05.019. 
  6. Safari, M. R. & Meier, M. R.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of current transtibial prosthetic socket designs-Part 1: Qualitative outcomes. J. Rehabil. Res. Dev. 52, 491–508 (2015).  
  7. Gholizadeh, H., Abu Osman, N. A., Eshraghi, A. & Ali, S. Transfemoral prosthesis suspension system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Phys. Med. Rehabil. 93, 809–823 (2014).  
  8. Gholizadeh, H., Abu Osman, N. A., Eshraghi, A., Ali, S. & Razak, N. A. Transtibial prosthesis suspension systems: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Clin. Biomech. Bristol Avon 29, 87–97 (2014).  
  9. Highsmith, M. J. & Highsmith, J. T. Chapter 56: Skin Problems in the Amputee. in Atlas of Amputations and Limb Deficiencies 677–696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016).  
  10. Baars, E. C. T. & Geertzen, J. H. B. Literature review of the possible advantages of silicon liner socket use in trans-tibial prostheses. Prosthet. Orthot. Int. 29, 27–37 (2005).  
  11. Dickinson, A. S., Steer, J. W. & Worsley, P. R.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amputated lower limb: A systematic review and recommendations. Med. Eng. Phys. 43, 1–18 (2017).  
  12. Klute, G. K., Glaister, B. C. & Berge, J. S. Prosthetic liners for lower limb ampute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rosthet. Orthot. Int. 34, 146–153 (2010).  
  13. K. Carroll, “Lower Extremity Socket Design and Suspension,”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17, no. 1, pp. 31–48, Feb. 2006, doi: 10.1016/j.pmr.2005.11.001.  
  14. J. Goswami, R. Lynn, G. Street, and M. Harlander, “Walking in a vacuum-assisted socket shifts the stump fluid balance,” Prosthet. Orthot. Int., vol. 27, no. 2, pp. 107–113, 2003.  
  15. C. B. Samitier, L. Guirao, M. Costea, J. M. Camós, and E. Pleguezuelos, “The benefits of using a vacuum-assisted socket system to improve balance and gait in elderly transtibial amputees,” Prosthet. Orthot. Int., vol. 40, no. 1, pp. 83–88, Feb. 2016, doi: 10.1177/0309364614546927.  
  16. N. J. Rosenblatt and T. Ehrhardt, “The effect of vacuum assisted socket suspension on prospective, community-based falls by users of lower limb prostheses,” Gait Posture, vol. 55, pp. 100–104, Jun. 2017, doi: 10.1016/j.gaitpost.2017.03.038.  
  17. S. Ali, N. A. Abu Osman, M. M. Naqshbandi, A. Eshraghi, M. Kamyab, and H. Gholizadeh, “Qualitative study of prosthetic suspension systems on transtibial amputees’ satisfaction and perceived problems with their prosthetic devices.,” Arch. Phys. Med. Rehabil., vol. 93, no. 11, pp. 1919–23, Nov. 2012.